반응형

코틀린 강의를 들으면서 한가지 기능에 대해 가장 쉽고, 빠르고, 코틀린만의 문법규칙을 사용하지 않고 작성하여 기능을 확인한 뒤 점진적으로 리팩토링 하며 코틀린 문법에 익숙해지려 한다.

 

강의를 들으면서 3단계에 걸쳐 동일한 기능을 리팩토링 하였고 그 과정을 기억해보려 한다.

[기능] 기능 설명

카테고리가 있는 책들의 현재 대출 현황에 대한 갯수를 보여준다.

{
    "COMPUTER": 1,
    "SCIENCE": 2,
    "SOCIATY": 5
}

카테고리 종류는 더 많지만 대출중인 유효 갯수가 있는 카테고리만 반환한다.

> bookRepository

현재 도서관이 보유중이 책 목록을 조회할 수 있다.

 

> BookStatResponse

카테고리별 대출중인 책의 갯수를 담는 DTO 이다.

 

[1] for loop 로 조회하기

- seriv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fun getBookStatistics_v1(): List<BookStatResponse> {
    val results = mutableListOf<BookStatResponse>()
    val books = bookRepository.findAll()
    for (book in books) {
        val targetDto = results.firstOrNull { dto -> book.type == dto.type }
        if (targetDto == null) {
            results.add(BookStatResponse(book.type, 1))
        } else {
            targetDto.plusOne()
        }
    }
    return results
}

 

- BookStatResponse

data class BookStatResponse(
        val type: BookType,
        var count: Int,
) {
    fun plusOne() {
        count++
    }
}

 

> 문제점

- 코드가 너무 길다

- BookStatResponse의 count가 가변 필드로 되어 의도치 않은 수정이 일어날 수 있다.

 

[2] ?. 와 ?: 사용하기

-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fun getBookStatistics_v2(): List<BookStatResponse> {
    val results = mutableListOf<BookStatResponse>()
    val books = bookRepository.findAll()
    for (book in books) {
        results.firstOrNull { dto -> book.type == dto.type }?.plusOne()
                ?: results.add(BookStatResponse(book.type, 1))
    }
    return results
}

 

> 문제점

- call chain이 길어져 디버깅이 쉽지 않다.

- BookStatResponse의 count가 가변 필드로 되어 의도치 않은 수정이 일어날 수 있다.

 

[3] group by 사용하기

-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fun getBookStatistics(): List<BookStatResponse> {
    return bookRepository.findAll() //List<Book>
            .groupBy{ book -> book.type }  // Map<BookType, List<Book>>
            .map { (type, books) -> BookStatResponse(type, books.size)} // List<BookStatResponse>
}

 

- BookStatResponse

data class BookStatResponse(
        val type: BookType,
        val count: Int,
)

 

> 코드 설명

1) findAll() 을 사용해 도서관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책을 조회한다 `List<Book>`

2) groupBy 를 사용해 카테고리 별 Map 으로 만들어준다 `Map<BookType, List<Book>>`

3) map 을 사용해 BookStatResponse DTO에 카테고리별 갯수를 담아준다 `List<BookStatResponse`

 

> 해결한 것

- BookStatResponse data class의 count 필드가 불변 필드로 되어 의도치 않은 수정을 막을 수 있다.

- 코드가 간결해 졌다.

 

> 문제점

도서관에 등록된 책의 전체 목록을 조회하여 그 갯수를 세는 과정이므로 db부하 등을 걱정해야 한다.

(전체 데이터 쿼리 => 메모리 로딩 + grouping)

 

[4] JPQL + Spring data JPA 활용하기 (예제 2개)

1] (위 예제와 이어지는 예제) 예제 1 : Book 기능

bookRepository에 커스텀 query function을 작성한다.

//jpql
@Query("select new com.group.libraryapp.dto.book.response.BookStatResponse(b.type, count(b.id)) " +
        "from Book b group by b.type")
fun getStats(): List<BookStatResponse>

 

위 메소드를 사용하면 service에서는 매우 간결해진다.

@Transactional(readOnly = true)
fun getBookStatistics(): List<BookStatResponse> = bookRepository.getStats()

 

해당 쿼리를 통해 조회하면 h2 query 출력은 아래와 같이 나온다

select
    book0_.type as col_0_0_,
    count(book0_.id) as col_1_0_ 
from
    books book0_ 
group by
    book0_.type

 

> 해결한 것

groupBy 쿼리를 사용하여 db로부터 전체 데이터를 메모리에 로드하지 않고 필요한 정보만을 가져오게 되었다.

-> index를 사용해 튜닝 (성능 최적화) 할수있는 여지가 잇다.

> 문제점

- query 구문에서 외부 객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절대 경로를 전부 입력해 주어야 한다...

- 오타와 띄어쓰기를 매우 주의해야 한다..

 

2] 예제 2 : User 기능

유저와 대출히스토리 table이 각각 있는 db구조에서 유저와 해당 유저의 전체 대출 히스토리 기록을 한번에 조회하는 기능이 있다. 이때 대출기록이 없는 유저일지라도 유저목록으로는 반환되야 한다. 

-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fun getUserLoanHistories(): List<UserLoanHistoryResponse> {
    return userRepository.findAllWithHistories().map(UserLoanHistoryResponse::of)
}

 

- repository

@Query("select distinct u from User u left join fetch u.userLoanHistories")
fun findAllWithHistories(): List<User>

 

> 문제점

- 오타 문제

- 조건이 추가된다면 또 다른 jpql 문을 작성해야 한다.

- 어떤것을 참조하는지 타고 들어가 봐야 안다.

 

[5] Querydsl (예제 2개)

0] 코프링에 querydsl 적용하기

1) gradle 추가

먼저 코프링 환경에서 querydsl을 사용하기 위해서 gradle 에 추가해주어야 한다.

// plugin
id "org.jetbrains.kotlin.kapt" version "1.6.21"

// dependecy
implementation("com.querydsl:querydsl-jpa:5.0.0")
kapt("com.querydsl:querydsl-apt:5.0.0:jpa")
kapt("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configuration-processor")

참고로 환경은 스프링 부트 3버전 / intelliJ 23.1버전 / kotlin 1.16 버전 이다.

 

설정 변경후 빌드를 하면 `build > generated > source > kapt > main > .....{프로젝트 루트} ..... > domain` 에 User와 Book이 아닌 QUser QBook 처럼 앞에 Q가 붙은 클래스들이 생성된걸 볼 수 있다.

 

2) 스프링 빈 등록

 

그리고 나서 QuerydslConfig 파일을 만들어 Component로 등록하고 JPAQueryFactory를 Bean으로 생성한다.

import com.querydsl.jpa.impl.JPAQuery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javax.persistence.EntityManager

@Configuration
class QuerydslConfig(
        private val em: EntityManager
) {

    @Bean
    fun querydsl(): JPAQueryFactory {
        return JPAQueryFactory(em)

    }
}

 

다음으로 querydsl을 사용할 interface와 구현체 클래스를 작성한다. 이는 기존의 repository 는 jpql + jpa를 사용하기 때문에 분리하기 위함이다.

 

3) querydsl 인터페이스, 구현체 생성

 

- interface : UserRepositoryCustom

interface UserRepositoryCustom { ... }

 

- class : UserRepositoryCustomImpl

class UserRepositoryCustomImpl(
        private val queryFactory: JPAQueryFactory
) : UserRepositoryCustom{ ... }

 

 

4) 기존 repository interface에 방금만든 것 상속

그리고 기존의 userRepository interface에서 Custom interface를 상속받도록 한다. 기존에 상속받고 있던 JPARepository는 그대로.

interface UserRepository : JpaRepository<User, Long>, UserRepositoryCustom{ ... }

 

1] 예제 2 : User 기능 => interface로 만들기

querydsl을 활용해 repository를 작성한다.

- UserRepositoryCustom

interface UserRepositoryCustom {
    fun findWithHistories(): List<User>
}

 

- UserRepositoryCustomImpl

import com.group.libraryapp.domain.user.QUser.user
import com.group.libraryapp.domain.user.loanhistory.QUserLoanHistory.userLoanHistory
import com.querydsl.jpa.impl.JPAQueryFactory

class UserRepositoryCustomImpl(
        private val queryFactory: JPAQueryFactory
) : UserRepositoryCustom{
    override fun findWithHistories(): List<User> {
        // querydsl 로 작성
        return queryFactory.select(user).distinct()
                .from(user)
                .leftJoin(userLoanHistory).on(userLoanHistory.user.id.eq(user.id)).fetchJoin()
                .fetch()
    }
}

 

의존성 주입을 위해 생성자에 JPAQueryFactory를 적어주어야 한다. query 구문에서는 기존 Entity class가 아닌 Q클래스를 사용한다.

 

2] (위 예제와 이어지는 예제) 예제 1 : Book 기능 => class로 만들기

BookQuerydslRepository 라는 클래스를 정의한다.

@Component
class BookQuerydslRepository(
        private val queryFactory: JPAQueryFactory,
) {
    fun getStats(): List<BookStatResponse> {
        return queryFactory.select(Projections.constructor(
                BookStatResponse::class.java,
                book.type,
                book.id.count()
        ))
                .from(book)
                .groupBy(book.type)
                .fetch()
    }
}

> Projections.constructor

주어진 DTO의 생성자를 호출한다. (첫번째로 나오는 클래스의 생성자)

그 뒤 인자들은 생성을 위한 초기값으로 사용된다.

select type, count(book.id) from book;

 

위 쿼리문을 해석하면 아래와 같다.

select type, count(book.id)
from book
group by type;

 

반응형
반응형

코프링 강의를 들으면서 프로젝트를 따라하다가 빌드를 하니
Downloading kotlinc-dist?

문구가 뜨면서 빌드가 끝나지 않았다. (5분 이상...)

 

이거저거 검색해 보니 최신버전 intelliJ에서는 kotin 1.6 버전을 지원하지 않는 문제일수 있다고 한 것을 보았다. (사실 정확한 해결책을 못찾았다. 한글은 없었다...)

1. kotlin 버전 업

`command :` 을 누르면 사용중인 언어의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해당 창에서 `Language version`을 누르면 현재 사용중인 버전과 선택 가능한 다른 이전 버전들을 확인할 수 있다.

> intelliJ 24.1 version의 화면

 

강의에서는 kotlin 1.6 버전을 사용중이었고, 소스를 그대로 다운받았기 때문에 내 프로젝트도 1.6 버전이다. 하지만 강의와 다른 점은 내 intelliJ의 버전이 24.1 버전이었고, 해당 버전에서는 Kotlin 1.6 버전을 더이상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실 강의 초반에는 문제될께 없었다. 정확하진 않지만 아래의 pluglin과 의존성을 추가한 뒤로 빌드 무한로딩 오류가 발생했다.

// plugin
id 'org.jetbrains.kotlin.plugin.jpa' version '1.6.21'


// dependecy
implementation "org.jetbrains.kotlin:kotlin-reflect:1.6.21"

 

`command :` 창에서 버전을 1.7로 올려주고 재 빌드했는데 자꾸 1.6으로 원복 되어 build.gradle 에서 버전을 올려주었다.

// plugin
id 'org.jetbrains.kotlin.jvm' version '1.7.21'
id 'org.jetbrains.kotlin.plugin.jpa' version '1.7.21'
// dependecy
implementation "org.jetbrains.kotlin:kotlin-reflect:1.7.21"

 

그러나 빌드 무한로딩 오류는 해결되지 않았다.

2. intelliJ 버전 다운그레이드

 

두번째 해결책으로는 kotlin 1.6 버전을 지원하지 않는 intelliJ 최신버전을 버리고 이전 버전으로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것이다.

jetBrain에서 intelliJ를 열고 "기타버전" 을 들어가 이전 버전을 다운로드 해준다.

 

그냥 젤 아래에 있는걸로 다운로드 하였다.

 

이후 다운그레이드 버전 intelliJ로 프로젝트를 실행하니 정상적으로 빌드가 완료되었다! (1분도 안걸림)

그리고 나서 `command : ` 로 들어가 보니 kotlin 버전 1.6에서 deprecated 표시가 사라져 있었다.

> intelliJ 23.1 version의 화면

 

일단 이렇게 에러 해결 완료...

 

버전 문제를 여러번 맞이했지만 IDE와 언어의 버전 충돌은 생각치도 못했는데 🥲 어찌저찌 해결되어 다행이다!

반응형
반응형

[1] Class : null 객체로 선언하기 

1. class 만들기

먼저 코틀린에서 간단한 class를 선언한다.

class School {
    var name: String = ""
    var grade: Int? = null

    constructor(name: String) {
        this.name = name
    }
}

 

생성자는 일단 name 필드만 필요로 하는 것으로 만들어 두었다.

grade 필드는 null safe 필드로 선언하여 Int타입 뒤에 ? 를 붙여서 선언하였다.

 

참고로 kotlin 에서는 class를 선언할때 모든 필드의 초기값을 세팅해 주어야 한다.

 

2. School 인스턴스 만들기

1) null safe 객체가 아닌데 null 로 초기화

// X 컴파일 오류 : null safe 하지 않은 타입인데 null로 초기화 할 수 없다
var school2: School = null
// X 컴파일 오류 : constructor 에 선언된 필수값을 입력해야 한다.
var school2: School = School()
// O 인스턴스 생성 성공
var school2: School = School("유치원")

null-safe 하게 선언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스턴스의 초기값으로 null을 세팅할 수 없다.

또한 School 클래스의 constructor 로 name을 필수로 입력받도록 했기 때문에 인스턴스 초기화 시 해당 값을 필수로 입력해 주어야 한다.

위 예제에서는 컴파일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쉽게 에러를 찾을 수 있다.

 

2) null safe 객체로 만들기

> null 로 초기화 후 인스턴스의 필드 가져오기 시도 -> 컴파일 오류 발생

// null safe 객체로 표현한 school1
var school1: School? = null 
// 컴파일 에러 발생 : null 객체에서 가져올 수 없다
var school1nameNo = school1.name

인스턴스가 null 이기 때문에 null.{필드} 는 Java와 마찬가지로 NullPointExceptioin 이 발생한다. Java와 다른점은 NullPointException이라고 뜨지 않고 

 

e: file://~/TryCatch.kt:20:32 Only safe (?.) or non-null asserted (!!.) calls are allowed on a nullable receiver of type School?

 

에러메세지가 표기되는데 읽어보면 null 관련 메세지임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파일 오류로 쉽게 에러를 확인할 수 있다.

 

> null로 초기화 후 실체 생성

// null safe 객체로 표현한 school1
var school1: School? = null 
println("--------------- school ------------------")

school1 = School("학교") // 생성자로 실체 인스턴스 생성
var school1name = school1.name // 정상 실행
println(school1name)
var school1Grade = school1.grade // 정상 실행 : null 로 나온다
println(school1Grade)

>> "학교"
>> null

 

name을 필수값으로 받는 생성자를 통해 shcool1을 선언하고, name필드와 null-safe한 grade 필드를 출력하면 에러 발생없이 그대로 출력된다. 이때 null 로 초기화 되어 값이 선언되지 않은 grade는 그대로 null로 출력된다.

 

3) 다수의 constructor + null-safe 필드

grade 값도 입력으로 받는 또하나의 constructor를 생성한다.

class School {
    var name: String = ""
    var grade: Int? = null

    constructor(name: String) {
        this.name = name
    }

    constructor(name: String, grade: Int?) {
        this.name = name
        this.grade = grade
    }
}

이때 grade 필드는 null-safe 필드이다!

 

이후 해당 constructor를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 name 필드만을 받는 constructor는 삭제했다.

var school3: School = null // 컴파일 오류 : null safe 하지 않은 타입인데 null로 초기화 할 수 없다
var school3: School = School() // 컴파일 오류 : constructor 에 선언된 필수값을 입력해야 한다.
var school3: School = School("유치원")  // 컴파일 오류 : constructor에 선언된 모든 필드를 입력해야 한다.
var school3: School = School("대학교", null) // 성공
var school4: School = School("대학원", 1) // 성공

 

null-safe한 필드여도 constructor에 선언되어 있으면 인스턴스 생성시 필수로 입력해야 한다. 단, null로 입력이 가능할 뿐이다.

 

[1] Var : null safe 변수

1. null safe 변수

변수에서도 null-safe 변수를 생성할 수 있다. 위 class 예제를 이해하면 변수도 똑같은 메커니즘으로 동작하는것을 이해할 수 있다.

 

1) null-safe 변수 선언 후 값을 대입하여 확인하기

var name: String? = null // 된다. null을 대입할수 있고, 대이하려면 타입 뒤에 ? 를 붙인다.
name = "jello" // null로 대입된 변수는 이후 다른 값으로 변경될 수 잇다.
println(name)
println(name[0])

>> jello
>> j

 

null-safe 변수의 값을 null로 초기화 한 후 값을 대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2) null-safe 하지않은 타입에 null로 초기화시 컴파일 오류 발생

var nameNull: String = null

다음과 같은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Null can not be a value of a non-null type String

 

3) null-safe 변수값 세팅하지 않고 문자열 더하기

var name0: String? = null
var aa = name0 + "1"
println(aa)
>> null1
println(name0[0]) // complie 오류로 잡힌다.

null 상태인 변수값에 "1" string값을 더해 print 하면 컴파일 오류, 런타임 오류 없이 "null1" 로 출력된다.

단, null 상태인 String 타입의 변수를 위에 유효한 값을 대입했던것과 같이 index로 찾으려 하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Only safe (?.) or non-null asserted (!!.) calls are allowed on a nullable receiver of type String?

에러메세지는 위 class 예제에서 null로 초기화된 인스턴스의 필드에 접근하려 할때 발생했던 에러메세지와 동일하다.

 

2. non-nullable 변수에 null-safe 변수값 대입

캐스팅만 해주면 변수간 대입이 가능하다. 서로 다른 타입도 캐스팅으로 가능하지만 non-nullabler과 nullable 사이에서도 가능하다. 이때 캐스팅 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1) null 체크 후 캐스팅

null-safe한 변수가 현재 기준으로 null 상태인지 확인하고, null 이 아닐때에만 non-nullable한 동일타입 변수에 대입한다.

var name1: String? = null
var name2: String = ""

// name 이 현재 null 인지 체크
if (name != null) {
    name2 = name
}

단, 현재 kotlin.spring 설정으로 smart casting이 이뤄지고 있다. null 체크를 자동으로 하여 변환해주고 있는 듯 하다.

name2 = name
// 원래는 안되지만 kotlin.Spring 에서 smart casting 이 되어 자동으로 null 체크가 이뤄지는 듯

2) !!를 붙여 ? 를 강제로 떼어내기

단, 이 방법은 개발자가 임의로 null 이 아니라고 한것이기 때문에 컴파일 오류가 아닌 런타임에러가 난다.

name2 = name!!

 

3) Safe call : ?. 과 let 으로 조건확인하여 대입하기

`?.` 은 null 여부를 체크하고 null 이 아니라면 그 뒤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런식의 null check 는 safe call 을 위한 방법으로 코틀린 공식문서에서도 소개되고 있다.

 

name?.let{
    name2=name
}

확인하여 name의 값이 null 이 아니면 name2에 값을 대입하도록 한다.

반응형
반응형

-- [문법] -----------

1. 값 전달

자바에서 대입은 항상 변수에 들어있는 값을 복사해서 전달한다.

 

만약 변수가 "배열" 이면 해당 배열에는 참조값이 들어있다. 따라서 이 참조값이 전달되는 것이다.

배열 A = 'X001' 일때 A 값을 새로운 인자로 전달하게 되면 A의 value가 아닌 A의 참조값인 'X001' 이 전달된다. 따라서 전달받은 곳에서 newA의 값을 변경하게 되면 동일한 참조값을 갖고 있는 A의 값도 변경되는 것이다.

-> 전형적인 call By Reference, call By Value 와는 조금 다른 양상

 

2. 클래스 배열 사용하기

#1 : 기본

fruit1 = new Fruit();
fruit1.name = "apple";

fruit2 = new Fruit();
fruit2.name = "orange";

Fruit[] fruits = new Fruit[2];
fruits[0] = fruit1;
fruits[1] = fruit2;

 

#2 : 클래스 배열 선언과 초기화 동시에 진행

fruit1 = new Fruit();
fruit1.name = "apple";

fruit2 = new Fruit();
fruit2.name = "orange";

Fruit[] fruits = new Fruit[2]{fruit1, fruit2};

 

#3: 클래스 배열 선언 간결화

fruit1 = new Fruit();
fruit1.name = "apple";

fruit2 = new Fruit();
fruit2.name = "orange";

Fruit[] fruits = new Fruit[]{fruit1, fruit2};
// 혹은 아래와 같이
Fruit[] fruits = {fruit1, fruit2};

 

3. 기본형과 참조형

기본형 : 자바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타입 : int, long, dubloe, boolean... 소문자로 시작한다.

참조형 : 기본형을 제외한 타입으로 대문자로 시작한다. 클래스 역시 대문자로 시작하고, 참조형이다. 개발자는 참조형인 클래스만 직접 정의할 수 있다.

- 참조형 String

String은 사실 "클래스" 이다. 하지만 기본형 처럼 문자 값을 바로 대입할수 있으며 서로 더할수 있다. 이는 자주다뤄지는 타입이기 때문에 자바에서 특별한 편의기능을 제공하는 덕분이다.

 


 

-- [객체지향] -------

1. 생성자

> 생성자 규칙

- 생성자의 이름은 클래스 이름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첫 글자도 대문자로 시작한다.)

- 생성자는 반환 타입이 없다. 비워두어야 한다.
- 나머지는 메서드와 같다.

 

> 기본 생성자

매개변수가 없는 생성자를 기본 생성자라고 한다.

클래스에 생성자가 하나도 없으면 자바 컴바일러는 매개변수가 없고, 작동하는 코드가 없는 기본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 준다.

public class Fruit {
	String name;
    int price;
    // 자바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기본 생성자
    Fruit(){}
}

하지만, 생성자가 하나라도 있으면 자바는 기본 생성자를 만들지 않는다.

public class Fruit {
	String name;
    int price;
    // 사용자가 만든 생성자
    void Fruit(String name){
    	this.name = name
    }
}

> 생성자 오버로딩

매개변수가 서로 다른 생성자를 다수 만들 수 있다.

public class Fruit {
	String name;
    int price;
    // name만 받는 생성자
    void Fruit(String name){
    	this.name = name
    }
    
    // name과 price를 받는 생성자
    void Fruit(String name, int price){
        this.name = name
        this.price = price
    }
}

// 두가지 생성자를 활용한 객체 만들기
Fruit oneFruit = new Fruit("사과"); // 이때 price는 int형의 초기값인 0이 된다.
Fruit twoFruit = new Fruit("오렌지", 1000);

두개 생성자의 공통된 코드를 관리할 수 있다. `this()` 를 통해 생성자 내에서 객체 자기자신의 생성자를 재 호출 한다.

이때 this()는 생성자 코드의 첫번째 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public class Fruit {
	String name;
    int price;
    // 생성자 1 : name만 받는 생성자
    void Fruit(String name){
    	this(name, 0) // 매개변수에 따라 생성자 2가 호출된다.
    }
    
    // 생성자 2 : name과 price를 받는 생성자
    void Fruit(String name, int price){
        this.name = name
        this.price = price
    }
}

 


-- [메모리 구조와 static]

1. Java의 메모리 영역

- 메소드 영역 : 클래스 정보 보관 (붕어빵 틀)

- 스택 영역 : 실제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영역. 메소드 실행할때 마다 하나씩 쌓인다 (붕어빵 만드는 로직)

- 힙 영역 : 객체 (인스턴스) 가 생성되는 영역. new 명령어로 새 객체를 생성하면 해당 영역이 사용된다 (만들어진 붕어빵들)

> 메소드 영역 :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공통 데이터 관리

- 클래스 정보 : 클래스의 실행 코드 (바이트코드), 필드, 메소드와 생성자 코드 등 모든 실행 코드 존재

- static 영역 : static 변수 보관

- 런타임 상수 풀

> 스택 영역 : 자바 실행 시 하나의 실행 스택 생성

- 지역변수, 중간 연산결과, 메소드 호출 정보 등 포함

- 쓰레드별 하나씩 생성되는 영역

> 힙 영역

- 객체(인스턴스)와 배열이 생성되는 영역

- GC가 일어나는 영역

- 객체가 생성되어 힙 영역이 사용되어도 인스턴스의 메소드는 힙 영역을 사용하지 않고 메소드 영역을 사용한다.

 

2. Static

> 변수와 생명주기

  • 지역 변수(매개변수 포함) : 지역 변수는 스택 영역에 있는 스택 프레임 안에 보관된다. 메서드가 종료되면 스택 프 레임도 제거 되는데 이때 해당 스택 프레임에 포함된 지역 변수도 함께 제거된다. 따라서 지역 변수는 생존 주기가 짧다.
  • 인스턴스 변수 : 인스턴스에 있는 멤버 변수를 인스턴스 변수라 한다. 인스턴스 변수는 힙 영역을 사용한다. 힙 영 역은 GC(가비지 컬렉션)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생존하기 때문에 보통 지역 변수보다 생존 주기가 길다.
  • 클래스 변수 : 클래스 변수는 메서드 영역의 static 영역에 보관되는 변수이다. 메서드 영역은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하는 공용 공간이다. 클래스 변수는 해당 클래스가 JVM에 로딩 되는 순간 생성된다. 그리고 JVM이 종료될 때 까지 생명주기가 이어진다. 따라서 가장 긴 생명주기를 가진다.

 


-- [Final] -----

값이 최초 한번만 할당되고 이후에 변경 불가능함

1. final 변수의 종류

> final 지역 변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final 변수 1
    public final String value1;
    value1 = "r";
    value2 = "b"; // 컴파일 오류
    
    // final 변수 2
    public final String value2="a";
    value2 = "b"; // 컴파일 오류   
}

 

> final 멤버 변수

- 생성자로 초기화

//final 필드 - 생성자 초기화
public class ConstructInit {
     final int value;
     // 생성자에서 값을 초기화
     public ConstructInit(int value) {
         this.value = value;
} }

- 필드 초기화

//final 필드 - 필드 초기화
public class FieldInit {
     static final int CONST_VALUE = 10;
     final int value = 10;
 }

 

? 필드 초기화에서 final 멤버변수에 `static`을 사용하는 이유

-> 모든 인스턴스가 같은 값을 갖고있는데 중복된 값을 모두 메모리 사용하여 갖고 있다. 이는 명확한 중복이며 개선의 여지가 있는 부분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값은 static을 붙여서 메모리 사용률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2. final 참조형 변수의 값 변경

// final 로 생성된 참조형 변수
final Data data = new Data()

 

위와 같은 참조형 변수가 final로 선언되었을때 변수 data를 다른 객체로 재 정의할 순 없다. 하지만 참조형 변수인 Data 인스턴스의 인스턴스 필드는 변경할 수 있다.

// final로 선언된 참조형 변수 Data 객체 data
final Data data = new Data();

data = new Data(); // final 변경 불가 컴파일 오류
data.value = 10; // 가능
data.value = 20; // 가능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