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 1탄에서는 content-type이 `application/json` 일때 문서 작성하는 법에 대해 다뤄보았다. 이번에는 `x-www-form-urlencoded` 형식의 api 일때 작성하는 법에 대해 다뤄보자.

기본적인 환경설정은 동일하기 때문에 패스하고

 

- 테스트 코드 작성시 사용하는 메소드

- index.adoc 설정법

 

만 다르기 때문에 이것만 다루도록 하겠다.

[1] 테스트코드 작성하기

1. 테스트 대상 코드

x-www-form-urlencoded 방식으로 전달 시 메소드는 POST 로 전달된다. 아래와 같이 테스트할 api를 작성해 준다.

@PostMapping("/tmp2")
fun tmp2(requestDto: TmpRequestDto): TmpResponseDto {
    val recommendEmail = requestDto.name + "@gmail.com"
    val responseDto =
        TmpResponseDto(
            code = 200,
            email = recommendEmail,
            message = "hello, ${requestDto.nickname ?: "guest"}",
        )
    return responseDto
}

 

 

2. 테스트코드 : params

application/json 타입일때에는 요청 파라미터를 정의할때 requestFields 메소드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x-www-form-urlencoded일때에는 params를 사용해야 한다.

// given
val requestDto =
    HealthcheckController.TmpRequestDto(
        userId = 1,
        name = "tester2",
        nickname = "banana",
        age = 25,
        productName = "잘팔리는노트",
        hobby = mutableListOf("클라이밍", "뜨개질"),
        address =
            HealthcheckController.TmpAddress(
                city = "세종특별시 아름동",
                street = "654-321",
                zipcode = 897,
            ),
    )

val xxxRequest =
    LinkedMultiValueMap(
        mapOf(
            "userId" to listOf(requestDto.userId.toString()),
            "name" to listOf(requestDto.name),
            "nickname" to listOf(requestDto.nickname),
            "age" to listOf(requestDto.age.toString()),
            "productName" to listOf(requestDto.productName),
            "hobby" to listOf(requestDto.hobby.joinToString(",")),
            "address.city" to listOf(requestDto.address.city),
            "address.street" to listOf(requestDto.address.street),
            "address.zipcode" to listOf(requestDto.address.zipcode.toString()),
        ),
    )

+) Map<String!, String!>

params의 value 타입에 맞춰 작성해 주어야 한다. 이때 문제가 될만한 것으로는 list 타입의 hobby이다.

콤마 (,) 로 구분하여 string으로 변환하는 작업을 해준 뒤 params의 값으로 작성해야 한다.

 

// when
val result =
    this.mockMvc.perform(
        RestDocumentationRequestBuilders
            .post("$domain/tmp2")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FORM_URLENCODED)
            .params(xxxRequest)
            .accept(MediaType.APPLICATION_JSON),
    )

이제 요청 준비는 다 되었고 결과값을 받아 문서로 만들 코드를 작성한다.

 

// then
result
    .andExpect(MockMvcResultMatchers.status().isOk)
    .andDo(
        document(
            "docs_xxxform",
            documentRequest,
            documentResponse,
            formParameters(
                parameterWithName("userId").description("유저Id").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integer")),
                parameterWithName("name").description("이름").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string")),
                parameterWithName("nickname").description("닉네임").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string")),
                parameterWithName("age").description("나이").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integer")),
                parameterWithName("productName").description("상품명").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string")),
                parameterWithName("hobby").description("취미").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array")),
                parameterWithName("address.city").description("도시").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string")),
                parameterWithName("address.street").description("도로명").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string")),
                parameterWithName("address.zipcode").description("우편번호").attributes(Attributes.key("type").value("integer")),
            ),
            responseFields(
                fieldWithPath("code").description("code").optional(),
                fieldWithPath("email").description("이메일").optional(),
                fieldWithPath("message").description("메시지").optional(),
            ),
        ),
    )

+) formParameters

요청파라미터를 정의하는 메소드로 `formParameters`를 사용한다. 객체안의 키는 application/json 형식때와 같이 마침표로 구분하여 작성한다.

 

[2] 문서 생성하기

1. 테스트 실행 : adoc 파일 생성

테스트를 실행하여 `docs_xxxform` 에 대한 adoc 파일들이 생성되는걸 확인해보자

이전에 생성된 `docs_json` 과 함께 테스트 성공으로 `docs-xxxform` 폴더가 생성되었다.

2. rest docs 포맷 설정 : index.adoc

`x-www-form-urlencoded` 형식에 맞춰 Index.adoc 폼도 수정해 주어야 한다.

 

application/json과 x-www-form-urlencdoed의 차이점!

- `request-fields.adoc` 은 application/json 에만 있다

- urlencoded에는 `form-parameters.adoc` 이 있다.

 

위 두가지가 요청 필드에 대한 명세서가 되므로 이에 유의하여 index.adoc파일을 작성해 준다.

 

 

 

 

 

 

# REST API

## [1] REST DOCS EXAMPLE : application/json
### [http : 요청]
include::{snippets}/docs_json/http-request.adoc[]
#### [요청 필드]
include::{snippets}/docs_json/request-fields.adoc[]
### [http : 응답]
include::{snippets}/docs_json/http-response.adoc[]
#### [응답 필드]
include::{snippets}/docs_json/response-fields.adoc[]

## [2] REST DOCS EXAMPLE : x-www-form-urlendcoded
### [http : 요청]
include::{snippets}/docs_xxxform/http-request.adoc[]
#### [요청 필드]
include::{snippets}/docs_xxxform/form-parameters.adoc[]
### [http : 응답]
include::{snippets}/docs_xxxform/http-response.adoc[]
#### [응답 필드]
include::{snippets}/docs_xxxform/response-fields.adoc[]

이제 build를 하고 `docs/index.html` 경로로 만들어진 문서를 확인해보자

3. /docs/index.html 로 발행된 문서 확인

참고로! 테스트 실행을 하고나서 build 하지 않고, build 시 테스트코드가 자동으로 실행되는 설정이라면 바로 build만 해도된다.

또 로컬환경에서 실행중일때 어라?! 빌드 됐는데 왜 문서 안바뀌지?! 하지 말고 서버도 재실행 해주는걸 잊지말자 🙂

한 페이지에 작성되다 보니 너무 길어서 창 두개에 띄움!

 

이렇게 content-type이 `x-www-form-urlencoded` 일때에 spring rest docs 작성도 완성했다! 다음은 이 문서를 보기좋게 커스텀 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고자 한다.

반응형
반응형

[1] 공식문서

https://docs.spring.io/spring-restdocs/docs/current/reference/htmlsingle/#introduction

 

Spring REST Docs

Document RESTful services by combining hand-written documentation with auto-generated snippets produced with Spring MVC Test or WebTestClient.

docs.spring.io

[2] 세팅하기

[build.gradle.kts]

plugins {
	id("org.asciidoctor.jvm.convert") version "3.3.2" // 1번
}

dependencies {
    asciidoctorExt("org.springframework.restdocs:spring-restdocs-asciidoctor:2.0.5.RELEASE") // 2번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restdocs:spring-restdocs-mockmvc") // 3번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restdocs:spring-restdocs-asciidoctor") // 4번
}

tasks {
    val snippetsDir by extra { file("build/generated-snippets") } // 5번

    test { // 6번 : test Task 의 output 디렉토리 설정
        outputs.dir(snippetsDir)
        useJUnitPlatform()
    }

    asciidoctor { // asciidoctor Task 생성
        configurations(asciidoctorExt.name)
        inputs.dir(snippetsDir) // 7번 : asciidoctor Task 의 input 디렉토리 설정

        dependsOn(test)
        doLast { // 8번
            copy {
                from("build/docs/asciidoc")
                into("src/main/resources/static/docs")
            }
        }
    }


- 1번 : 플러그인 추가

- 2번 : asciidoctor 의존성 추가

- 3번 : spring rest docs 의존성 추가 (mockMvc)

- 4번 : spring rest docs 의존성 추가 (asciidoctor)

- 5번 : snippets 경로 설정

- 6번 : test Task의 output 디렉토리 설정

- 7번 : asciidoctor Task의 input 디렉토리 설정

- 8번 : 테스트 코드 실행 종료 후 파일 복붙하는 설정 (from 하위 파일을 into 폴더 하위로 복제한다)

 

[3] 테스트코드 작성하기

1. abstract class 작성

우아한 형제들 블로그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package io.my.project

import com.fasterxml.jackson.databind.ObjectMapp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restdocs.AutoConfigureRestDocs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AutoConfigureMockMvc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MockMvc

@SpringBootTest
@AutoConfigureRestDocs // REST Docs 설정
@AutoConfigureMockMvc
@ComponentScan(basePackages = ["io.gbike.hwikgo"]) // 컴포넌트 스캔 범위 지정
abstract class ApiDocumentationTest : BaseMockData() {
    @Autowired
    protected lateinit var mockMvc: MockMvc

    @Autowired
    protected lateinit var objectMapper: ObjectMapper
}

 

? SpringBootTest

여기서 `SpringBootTest` 대신 `WebMvcTest` 를 사용하여 빌드속도를 좀더 빠르게 할 수 있지만 테스트하려는 Controller 에 연결되어있는 많은 Service들과 Service에서 또 참고하는 유틸성 컴포넌트 등 일일이 주입해주어야 할 의존성이 너무 많은듯 하여 일단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였다.

### : MockMvc

spring REST Docs 문서화를 위해선 MockMvc 의 perform을 수행해야 한다. 동일하게 사용되는 객체이므로 abstract에서 생성했다.

 

2. 테스트 코드 작성

먼저 테스트 코드 작성을 위해 controller에 테스트 대상 코드를 작성해 주었다.

@RestController
class HealthcheckController() {
    @GetMapping("/tmp")
    fun tmp(requestDto: TmpRequestDto): TmpResponseDto {
        val recommendEmail = requestDto.name + "@gmail.com"
        val responseDto =
            TmpResponseDto(
                code = 200,
                email = recommendEmail,
                message = "hello, ${requestDto.nickname ?: "guest"}",
            )
        return responseDto
    }

    data class TmpRequestDto(
        val userId: Int = 1,
        val name: String = "",
        val nickname: String = "",
        val age: Int = 1,
        val productName: String = "",
        val hobby: MutableList<String> = mutableListOf(),
        val address: TmpAddress = TmpAddress(city = "", street = "", zipcode = 0),
    )

    data class TmpAddress(
        val city: String,
        val street: String,
        val zipcode: Int,
    )

    data class TmpResponseDto(
        val code: Int,
        val email: String,
        val message: String = "",
    )
}

그리고 나서 해당 controller 를 호출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 주었다. 이때 호출당시의 content-type 에 따라 사용하는 메소드가 달라진다.

- content-type : x-www-form-urlencoded

요청을 보내는 쪽에서 body가 `x-www-form-urlencoded` 타입일 경우 formParameters 를 사용한다.

해당 방식은 다음 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요청을 보내는 쪽에서 body가 `application/json` 타입일 경우 requestFields 를 사용한다.

package io.myproject.controller

import io.myproject.ApiDocumentUtils.Companion.documentRequest
import io.myproject.ApiDocumentUtils.Companion.documentResponse
import io.myproject.ApiDocumentationTest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MediaType
import org.springframework.restdocs.mockmvc.MockMvcRestDocumentation.document
import org.springframework.restdocs.mockmvc.RestDocumentationRequestBuilders
import org.springframework.restdocs.payload.PayloadDocument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web.servlet.result.MockMvcResultMatchers

class HealthcheckControllerTest : ApiDocumentationTest() {
    @Test
    fun tmpTest() {
        // given
        val re =
            HealthcheckController.TmpRequestDto(
                userId = 1,
                name = "tester1",
                nickname = "apple",
                age = 30,
                productName = "잘팔리는필통",
                hobby = mutableListOf("수영", "독서"),
                address =
                    HealthcheckController.TmpAddress(
                        city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street = "123-456",
                        zipcode = 123,
                    ),
            )

        // when
        val res =
            this.mockMvc.perform(
                RestDocumentationRequestBuilders
                    .get("$domain/tmp")
                    .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JSON)
                    .content(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re))
                    .accept(MediaType.APPLICATION_JSON),
            )

        res
            .andExpect(MockMvcResultMatchers.status().isOk)
            .andDo(
                document(
                    "docs_json",
                    documentRequest,
                    documentResponse,
                    requestFields(
                        fieldWithPath("userId").description("유저Id").optional(),
                        fieldWithPath("name").description("이름").optional(),
                        fieldWithPath("nickname").description("닉네임").optional(),
                        fieldWithPath("age").description("나이").optional(),
                        fieldWithPath("productName").description("상품명").optional(),
                        fieldWithPath("hobby").description("취미").optional(),
                        fieldWithPath("address").description("주소").optional(),
                        fieldWithPath("address.city").description("도시").optional(),
                        fieldWithPath("address.street").description("도로명").optional(),
                        fieldWithPath("address.zipcode").description("우편번호").optional(),
                    ),
                    responseFields(
                        fieldWithPath("code").description("code").optional(),
                        fieldWithPath("email").description("이메일").optional(),
                        fieldWithPath("message").description("메시지").optional(),
                    ),
                ),
            )
    }
}

 

[4] 문서 생성하기

1. 테스트 실행 : adoc 파일 생성

먼저 작성한 테스트코드가 올바르게 실행되는지 확인한다. 테스트가 성공했다면 `build/generated-snippets` 에 테스트코드에서 지정한 documentdml identifier 이름의 폴더가 있고 그 아래에 사진과 같은 adoc 파일이 생성되어 있을 것이다.

 

- curl-request.adoc : curl 요청 형식으로 작성된 파일

- form-parameters : 본인의 테스트 코드 request body가 form-data 형식이어서 `formParameters`를 사용했기에 생성된 파일

- http-request : http 요청 파일

- http-response : http 응답 파일

- httpie-request : http client 요청 파일

- response-fields : 본인 테스트 코드 `responseFields`에 의해 생성된 파일

 

 

 

 

2. rest docs 포맷 설정 : index.adoc

테스트코드 실행으로 생성된 여러가지 adoc 파일을 활용해 rest docs를 구성해야 한다.

`src/docs/asciidoc/index.adoc`을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다.

# REST API

## REST DOCS EXAMPLE

### [http : 요청]
include::{snippets}/docs_json/http-request.adoc[]

#### [요청 필드]
include::{snippets}/docs_json/request-fields.adoc[]

### [http : 응답]
include::{snippets}/docs_json/http-response.adoc[]

#### [응답 필드]
include::{snippets}/docs_json/response-fields.adoc[]

플러그인을 설치하면 다음와 같이 작성했을때 어떻게 보여지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3. html 문서 확인

이제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위의 adoc 파일의 내용index.adoc의 형식으로 index.html 파일로 변환된다. 또한  build.gradle.kts 에 작성했던 아래 설정으로 인해 `build/docs/asciidoc` 에 있는 파일이 `src/main/resources/static/docs` 로 복제 된다.

tasks {
    ... (생략) ...
    asciidoctor {
    	... (생략) ...
        dependsOn(test)
        doLast {
            copy {
                from("build/docs/asciidoc")
                into("src/main/resources/static/docs")
            }
        }
    }

 

해당 resources 하위에 존재해야지만 url path로 접근 할 수 있는데 이때 application 파일에 아래의 항목이 true 로 되어있어야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기본 정적 리소스 매핑을 사용할 수 있다.

spring:
    web:
        resources:
            add-mappings: true # 정적 리소스 매핑 활성화

 

 

4. /docs/index.html 로 발행된 문서 확인

정적 리소스 매핑으로 도메인 뒤에 `/docs/index.html` 를 입력하면 `main/resources/static/docs/index.html` 에 접근 할 수 있다.

참고로 build 로 html문서 생선 전에 `localhost:8080/docs/index.html` 로 접속하면 그러한 리소스는 없다는 오류가 뜬다.

테스트코드가 성공했다고 하여도 전체적인 build가 성공해야지만 docs가 생성된다는것!!

BUILD SUCCESSFUL in 24s

 

문서 생성 확인 완료!!

다음 2탄은 content-type 이 x-www-form-urlencoded 일때 문서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다.

반응형
반응형

코프링 강의를 듣는데 강의 h2 세팅이 인메모리로 되어있었다.

이것을 h2 실제 db로 세팅하고 서버를 재실행 해도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해 일부 세팅을 바꿔주었다.

[1] h2 연결하기

1. h2 서버 연결

1) h2 실행하기

h2를 다운로드 한 후 파일 내에서 `h2.sh` 가 있는 곳으로 들어간다. 나의 경우 h2 > bin 에 있었다.

해당 파일이 있는 곳에서 파일을 실행시켜 준다.

./h2.sh

2) h2 db 접속하기

h2를 실행시키면 웹사이트가 열린다. db url을 입력해야 하는데 첫 연결시에는 해당 경로로 db가 생성된다.

나는 root경로 하위에 생성하도록 했다. 이후 `연결` 을 눌러 연결해 준다. 그러면 사이트 창이 하나 열리는데 화면 로딩이 안될 경우 해당 인터넷 창의 url 앞부분의 ip 주소 부분을 localhost로 변경해준다.

key 부분은 절대 수정하면 안된다!

http://localhost:8082/login.do?jsessionid=~~~~~

그렇게 되면 초기 화면을 볼 수 있다. 이후 재 연결시에는 tcp를 통해 연결해주도록 한다.

[2] h2연결을 위한 프로젝트 설정

1. application 설정 파일 수정 : yml 버전

먼저 application.yml에서 database의 설정을 변경해 준다.

기존에 프로젝트 소스코드에서는 인메모리 형식으로 지정되어 있었다.

spring:
  datasource:
    url: 'jdbc:h2:mem:library'
    username: 'user'
    password: ''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show_sql: true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datasource에서 url이 h2 db의 접속 경로이다. `:mem:` 으로 되어있어 인메모리 db를 사용하는 것을 뜻한다.

`jpa > hibername > ddl-auto` 에는 크게 create와 none이 있다. create를 하면 서버를 재실행 할때마다 데이터를 리셋하면서 테이블 세팅을 다시 하는것이고, none이면 기존 설정을 유지하는 것이다.

만약 설정이 create 이고, 기존 테이블의 이름을 소스상에서 변경처리후 서버를 재실행 하면 기존 테이블 명으로도 남아있고, 새로운 테이블 명으로도 테이블이 생성된다.

 

위 설정값을 아래로 변경해 준다. tcp 통신을 통해 연결하므로 동시성 문제도 해결되는것으로 알고 있다.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library'
    username: 'user'
    password: ''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show_sql: true
logging.level:
  org.hibernate.SQL: debug

db의 CRUD 쿼리를 보기 위해 log 설정을 추가해 주었다.

 

2. 스프링 서버 실행하기

위에 log 설정을 해두었기 때문에 프로젝트 실행 시 h2 db의 테이블 세팅 쿼리가 보여진다.

 

[3] USER 테이블 미생성 오류

bookuser_loan_history 라는 테이블은 클래스명 대로 잘 생성되었는데 user 테이블은 생성이 안되었다.

로그를 살펴보니 아래와 같은 에러메세지가 보인다.

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Syntax error in SQL statement "\000a    create table [*]user (\000a       id bigint generated by default as identity,\000a        age integer,\000a        name varchar(255) not null,\000a        primary key (id)\000a    )"; expected "identifier"; SQL statement:

    create table user (
       id bigint generated by default as identity,
        age integer,
        name varchar(255) not null,
        primary key (id)
    ) [42001-200]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53) ~[h2-1.4.200.jar:1.4.200]

하지만 user 클래스는 `@Entity` 어노테이션도 잘 붙어있고, id 값에는 `@GeneratedValue` 로 제대로 세팅되어있는것으로 보인다.

@Entity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IDENTITY)
  private Long id;
}

 

> 예약어 : USER

이거저거 검색해보니 해당 클래스 명이 USER인데 이 USER라는 값은 mysql의 예약어 라고 한다. 때문에 개발자가 사용 불가능한 값이므로 해당 값을 테이블명으로 세팅할수 없다고 한다.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keywords.html#keywords-in-current-series

 

클래스 명을 변경하기엔 다른 코드도 전부 수정해주어야 해서 안될것 같아 `@Tabl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였다.

 

> @Table 어노테이션

해당 어노테이션의 parameter 값으로 `name`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 값을 입력해두면 테이블 생성시 입력한 값으로 테이블 명이 지정된다.

예약어 이슈를 회피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었다.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서 user 테이블의 이름을 복수형으로 지정했기 때문에 book 테이블 명도 복수형으로 지정해 주었다. 

@Entity
@Table(name="users")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IDENTITY)
  private Long id;
}

 

> 서버 재실행 후 테이블 생성 확인

이후 서버를 재 실행 해준다!

이때 ddl-auto 의 값은 `create` 여야 변경된 테이블 정보가 적용된다.

또한, 이전에 생성된 BOOK 테이블을 버리고 복수형으로 지정된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해서 h2 에서 table drop 쿼리를 날려준다.

drop table if exists BOOK
drop table if exists USER_LOAN_HISTORY

그리고 서버를 실행해준다.

 

!! 테이블 명을 @Table 어노테이션으로 "소문자" 로 적어도 테이블 생성시 대문자로 생성된다!!

 

성공적으로 테이블이 생성되었다!

이후 application.yml 파일에서 `ddl-auto` 설정을 none 으로 해주어 서버 재 실행시에도 데이터가 날아가지 않도록 해준다!

반응형
반응형

개발의 빠름빠름을 위해 나만의 커스텀 단축키를 생성해보자.

1. Preferences > Live Template 검색

 

2. + 클릭하고 Live Template 클릭

이때 기존에 생성되어있는 목록을 누르고 생성하게 되면 해당 카테고리의 하위항목으로 등록된다.

따라서 빈 곳을 클릭 하여 활성화된 기존 목록이 없게 끔 하고 나서 생성을 진행한다.

 

3. 나만의 템플릿 생성하기

Abbreviation에 해당 템플릿을 빠르게 불러올 나만의 단축키를 등록한다. Description은 선택사항!

김영한님의 스프링 강의를 들으면서 테스트코드 템플릿을 자주 접하게 되었는데 이 템플릿을 나도 등록하여 사용하면 실무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하게 될것 같아서 등록~!

 

테스트명은 작성할때마다 지정하는것이니 해당부분은 빼놓고, 기본 Exception 처리만 추가하여 생성한다.

 

4. 작동 언어 세팅

아마 처음 등록하는 거면 표기되는 문자가 달랐던것 같지만.... 하단의 Change 를 클릭하여 해당 템플릿이 작동할 언어를 선택해 준다.

Java 하면 됨~!

 

5. 사용해보기

tdd를 치면 test template 이라고 내가 설정한 Description이 함께 뜬다! 바로 엔터를 눌러준다

짜잔~

완성이닷

반응형
반응형

[프로젝트 생성]

1. java, jdk, spring boot 버전 확인

2. 초기라이브러리 

- spring-web

- thymleaf

- lombok

 

[MTV pattern]

1. 의존성

1) @Component 와 @Autowired

스프링 bean 으로 등록하기 위해선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달아주어야 한다. 만약 해당 객체 (Java는 모든것이 객체) 의 생성자를 만들때 의존성 주입이 필요하다면 @Autowired로 빌드 시 자동으로 주입되도록 한다.

생성자를 만드는 규칙은 3가지 이다

• setter 주입 (수정자 주입)
• field 주입
• 일반 메소드 주입

• 생성자 주입

권장되는 방법은 이중 "생성자 주입" 방식이다. 만약 생성자가 단 1개라면 @Autowired의 생략이 가능하다.

@Controller
@RequestMapping("/basic/items")
public class BasicItemController {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Autowired // 생성자가 단 한개이므로 생략 가능하다
    public BasicItemController(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this.itemRepository = itemRepository;
    }
}

 

이때 required = False 처리를 하게 되면 주입 대상이 없을 경우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지 않지만 실제 주입 대상이 존재하지 않으면 호출되지 않는다.

@Controller
@RequestMapping("/basic/items")
public class BasicItemController {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Autowired(required=false)
    public BasicItemController(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this.itemRepository = itemRepository;
    }
}

 

2. 생성자 

1) @RequiredArgsConstructor

Lombok의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final이 붙은 필드를 모아서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이때 해당 객체는 생성자 주입시 필수 객체로 인지된다.

@Controller
@RequestMapping("/basic/items")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BasicItemController {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2) @AllArgsConstructor

모든 값을 필요로 하는 생성자를 만들어준다.

 

@Data
@AllArgsConstructor // 해당 객체를 만들려면 모든 값을 넘겨야 한다는 뜻
static class UpdateMemberResponse {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

위 객체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생성해야 한다.

UpdateMemberResponse res = new UpdateMemberResponse(findMember.getId(), findMember.getName());

 

3) @NoArgsConstructor

기본생성자를 생성한다.

3. Controller

1) @Controller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기 위해 Component로 등록해야 하지만 Controller 어노테이션에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Contoller로 등록한다.

2) @RestController

@Controller 는 응답값이 html 파일로 전송되게 한다. @ResponseBody를 쓰면 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rest api 개발시 해당 동작은 불필요 하므로 간편하게 @RestController를 사용한다. (아래 예시)

- Controller사용과 메소드에 적용

@Controller
public class RequestBodyJsonController {
    private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ResponseBody
    @PostMapping("/hello")
    public String requestBodyJsonV2(@RequestBody String messageBody) throws IOException {
        HelloData data = objectMapper.readValue(messageBody, HelloData.class);
        log.info("username={}, age={}", data.getUsername(), data.getAge());
        return "ok";
    }

 

- RestController 사용

@RestController
public class RequestBodyJsonController {
    private ObjectMapper objectMapper = new ObjectMapper();

    @PostMapping("/hello")
    public String requestBodyJsonV2(@RequestBody String messageBody) throws IOException {
        HelloData data = objectMapper.readValue(messageBody, HelloData.class);
        log.info("username={}, age={}", data.getUsername(), data.getAge());
        return "ok";
    }

 

3) @RequestBody

HttpMessageConverter 사용 -> StringHttpMessageConverter 적용

개별 메소드에 적용할 수 있고, RestController를 사용함으로써 생략할 수도 있다.

 

4) @ResponseBody

- 모든 메서드에 @ResponseBody 적용
- 메시지 바디 정보 직접 반환(view 조회X)
- HttpMessageConverter 사용 -> StringHttpMessageConverter 적용

 

 

[Bean 등록]

1) @Configuration

직접 스프링 빈을 등록하기 위해서는 클래스를 구성정보/설정정보로 나타내주고 하위에 등록한다.

@Configuration // 구성정보, 설정정보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

위 예제에서 memberService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려는데 memberRepository에 대한 의존성을 갖고있다. 따라서 이것도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 주어야 한다.

@Configuration // 구성정보, 설정정보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Validation]

값에 대한 검증은 필수이다. 모든걸 비즈니스 로직으로 처리하면 공수가 크고 유지보수가 어려우므로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Validated나 자바 표준 모듈인 @Valid를 사용한다. 둘중 어느걸 사용해도 상관 없다고 한다. 스프링 이라는 틀은 변하지 않을 것 같으므로 @Validated를 사용한다.

 

1) 직접 검증기 생성하기 (Validator 구현체 생성)

public interface Validator {
     boolean supports(Class<?> clazz);
     void validate(Object target, Errors errors);
}

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나만의 Validator를 구현한다.

package hello.itemservice.web.validation;

import hello.itemservice.domain.item.Item;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validation.Errors;
import org.springframework.validation.ValidationUtils;
import org.springframework.validation.Validator;

@Component
public class ItemValidator implements Validator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return Item.class.isAssignableFrom(clazz);
    }

    @Override
    public void validate(Object target, Errors errors) {
        Item item = (Item) target;
        ValidationUtils.rejectIfEmptyOrWhitespace(errors, "itemName", "required");
        if (item.getPrice() == null || item.getPrice() < 1000 || item.getPrice() > 1000000) {
            errors.rejectValue("price", "range", new Object[]{1000, 1000000}, null);
        }
        if (item.getQuantity() == null || item.getQuantity() > 10000) {
            errors.rejectValue("quantity", "max", new Object[]{9999}, null);
        }
        //특정 필드 예외가 아닌 전체 예외
        if (item.getPrice() != null && item.getQuantity() != null) {
        int resultPrice = item.getPrice() * item.getQuantity();
        if (resultPrice < 10000) {
            errors.reject("totalPriceMin", new Object[]{10000, resultPrice}, null);
        }
    }
}

 

- 검증기 등록하기

@Component
 public class ItemValidator implements Validator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return Item.class.isAssignableFrom(clazz);
     }
    @Override
     public void validate(Object target, Errors errors) {
     }
 }

 

#1 특정 컨트롤러에 적용하기

// 적용할 클래스 안에서
@InitBinder
 public void init(WebDataBinder dataBinder) {
     log.info("init binder {}", dataBinder);
     dataBinder.addValidators(itemValidator);
 }

#2 모든 컨트롤러에 적용하기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ItemServiceApplication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ItemServiceApplication.class, args);
}
     @Override
     public Validator getValidator() {
         return new ItemValidator();
     }
}

 

위 방법을 사용하게 될 경우 클래스 내의 InitBinder 어노테이션을 제거하여도 검증기로 등록되어 support 하는 클래스의 Validatior를 실행한다.

 

하지만 2번처럼 글로벌 설정을 하면 아래의 BeanValidator가 자동 등록되지 않고, 실제로 글로벌 설정을 직접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2) Bean Validation

해당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선 의존관계 추가가 필요하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Bean Validation을 구현한 기술중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구현체는 하이버네이트 Validator이다. 

Jakarta Bean Validation

- jakarta.validation-api : Bean Validation 인터페이스

- hibernate-validator : 구현체

 

package hello.itemservice.domain.item;
import lombok.Data;
import org.hibernate.validator.constraints.Range;
import javax.validation.constraints.Max;
import javax.validation.constraints.NotBlank;
import javax.validation.constraints.NotNull;
@Data
public class Item {
    private Long id;

    @NotBlank(message = "공백은 입력할 수 없습니다.")
    private String itemName;

    @NotNull
    @Range(min = 1000, max = 1000000)
    private Integer price;

    @NotNull
    @Max(9999)
    private Integer quantity;

    public Item() {}
    public Item(String itemName, Integer price, Integer quantity) {
        this.itemName = itemName;
        this.price = price;
        this.quantity = quantity;
    }
}

 

검증 애노테이션

- @NotBlank : 빈값 + 공백만 있는 경우를 허용하지 않는다.
- @NotNull : `null` 을 허용하지 않는다.
- @Range(min = 1000, max = 1000000) : 범위 안의 값이어야 한다.

- @Max(9999) : 최대 9999까지만 허용한다.

 

 

- @Valid

javax.validation.@Valid` 를 사용하려면 `build.gradle` 의존관계 추가가 필요다.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validation'

 

- @Validated

@Validated` 는 검증기를 실행하라는 애노테이션이다.
이 애노테이션이 붙으면 앞서 `WebDataBinder` 에 등록한 검증기를 찾아서 실행한다. 그런데 여러 검증기를 등록한다 면 그 중에 어떤 검증기가 실행되어야 할지 구분이 필요하다. 이때 `supports()` 가 사용된다. 여기서는 `supports(Item.class)` 호출되고, 결과가 `true` 이므로 `ItemValidator` 의 `validate()` 가 호출된다.

 

@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Validated @ModelAttribute Item item, BindingResult bindingResult, RedirectAttributes redirectAttributes) {
        if (bindingResult.hasErrors()) {
            log.info("errors={}", bindingResult);
            return "validation/v3/addForm";
        }
        //성공 로직
        Item savedItem = itemRepository.save(item);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itemId", savedItem.getId()); redirectAttributes.addAttribute("status", true);
        return "redirect:/validation/v3/items/{itemId}";
}

 

이때 @ModelAttribute에서도 바인딩에 대한 검증이 이뤄지는데 @ModelAttribute각각의 필드 타입 변환을 시도하고, 변환에성공한필드만BeanValidation적용된다.

 

- @ModelAttribute vs @RequestBody

- @ModelAttribute 는 필드 단위로 정교하게 바인딩이 적용된다. 특정 필드가 바인딩 되지 않아도 나머지 필드 는 정상 바인딩 되고, Validator를 사용한 검증도 적용할 수 있다.
- @RequestBody 는 HttpMessageConverter 단계에서 JSON 데이터를 객체로 변경하지 못하면 이후 단계 자 체가 진행되지 않고 예외가 발생한다. 컨트롤러도 호출되지 않고, Validator도 적용할 수 없다.

 

[Filter]

1) Filter의 흐름

HTTP 요청 -> WAS -> 필터 -> 서블릿 -> 스프링 인터셉터 -> 컨트롤러

 

2) Filter의 생성

package hello.login.web.filter;
import javax.servle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util.UUID;

public class LogFilter implements Filter {
    @Override
    public void init(FilterConfig filterConfig) throws ServletException {
        log.info("log filter init");
    }
    @Override
    public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quest, 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chain)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HttpServletRequest httpRequest = (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requestURI = httpRequest.getRequestURI();
        String uuid = UUID.randomUUID().toString();
        try {
             log.info("REQUEST  [{}][{}]", uuid, requestURI);
             chain.doFilter(request, response);
         } catch (Exception e) {
             throw e;
         } finally {
             log.info("RESPONSE [{}][{}]", uuid, requestURI);
}
        }
}

Filter 인터페스를 구체화하여 나만의 Filter를 생성한다. 이때 Filter 인터페이스의 init과 doFilter 메소드를 오버라이딩 하여 로직을 구현한다.

 

주의해야 할 점은 doFilter 로직 안에서 필터 로직을 진행 한후 doFilter를 호출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때 다음 필터가 있다면 그 필터가 실행되고, 필터가 없다면 서블릿을 호출한다. 

chain.doFilter(request, response);

 

 

3) Filter 등록

만든 Filter를 스프링이 인식하여 실제 동작하게 하기 위해선 Config에 등록해야 한다.

package hello.login;
import hello.login.web.filter.LogFilter;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FilterRegistr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javax.servlet.Filter;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
    @Bean
    public FilterRegistrationBean logFilter() {
        FilterRegistrationBean<Filter> filterRegistrationBean = new FilterRegistrationBean<>();
        filterRegistrationBean.setFilter(new LogFilter());
        filterRegistrationBean.setOrder(1);
        filterRegistrationBean.addUrlPatterns("/*");
        return filterRegistrationBean;
    }
}

Filter를 등록할때에는 FilterRegistrationBean 클래스를 사용한다.

setOrder를 통해 실행될 필터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addUrlPatterns를 통해 어떤 경로 호출시 필터를 실행시킬지 결정한다.

4) Filter 특징

chain.doFilter를 통해 request와 response를 넘길때 해당 객체의 타입을 조작할 수 있다. Filter인터페이스의 기본 형은 Servlet~ 으로 사용할수 있는 메소드가 한정적이어서 doFilter 메소드 내에서 다운그레이드 하여 Http 객체로 변경처리하였다. 변경된 이 상태를 넘길 수 있다.

 

5) Filter와 에러처리

1. WAS(여기까지 전파) <- 필터 <- 서블릿 <- 인터셉터 <- 컨트롤러(예외발생)
2. WAS `/error-page/500` 다시 요청 -> 필터 -> 서블릿 -> 인터셉터 -> 컨트롤러(/error-page/500) -> View

 

스프링MVC에서 오류 발생시 WAS로 에러가 전달되고, 해당 에러를 처리하기 위해 다시 Filter -> MVC의 흐름이 진행된다. 이럴때 정상 호출시에만 Filter만 호출되게 하고, 에러처리로 인한 실행에는 필터가 동작하지 않게 명시적으로 지정 할 수 있다.

@Bean
 public FilterRegistrationBean logFilter() {
     FilterRegistrationBean<Filter> filterRegistrationBean = new FilterRegistrationBean<>();
     filterRegistrationBean.setFilter(new LogFilter());
     filterRegistrationBean.setOrder(1);
     filterRegistrationBean.addUrlPatterns("/*");
     filterRegistrationBean.setDispatcherTypes(DispatcherType.REQUEST, DispatcherType.ERROR);
     return filterRegistrationBean;
}

Filter를 Bean으로 등록시 dispatcherType을 명시하지 않으면 default 값으로 REQUEST가 적용된다.

> DispatcherType 종류

- REQUEST : 클라이언트 요청
- ERROR : 오류 요청
- FORWARD : MVC에서 배웠던 서블릿에서 다른 서블릿이나 JSP를 호출할 때 RequestDispatcher.forward(request, response)
- INCLUDE : 서블릿에서 다른 서블릿이나 JSP의 결과를 포함할 때 RequestDispatcher.include(request, response)
- ASYNC : 서블릿 비동기 호출

 

[Interceptor]

1) 인터셉터의 흐름

HTTP 요청 ->WAS-> 필터 -> 서블릿 -> 스프링 인터셉터 -> 컨트롤러

 

2) 인터셉터의 생성

public interface HandlerInterceptor {
    default boolean preHandl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throws Exception {
    }

    default void postHandl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Nullable ModelAndView modelAndView) throws Exception {
    }

    default void afterComple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Nullable Exception ex) throws Exception {
    }
}

 

인터셉트를 구현하기 위해선 HandlerInterceptor 인터페이스를 구체화 한다.

 

- preHandle

: 컨트롤러 호출 전에 호출된다. (더 정확히는 핸들러 어댑터 호출 전에 호출된다.) 응답값이 "true" 이면 다음으로 진행하고, "false" 이면 더는 진행하지 않는다. "false" 인 경우 나머지 인터셉터는 물론이고, 핸들러 어댑터도 호출되지 않는다. 그림에서 1번에서 끝이 나버린다.

- postHandle

: 컨트롤러 호출 후에 호출된다. (더 정확히는 핸들러 어댑터 호출 후에 호출된다.) 이떄 컨트롤러 내부에서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호출되지 않는다.

- afterCompletion

: 컨트롤러의 에러 여부에 상관없이 뷰가 렌더링 된 이후에 호출된다.

 

3) 인터셉터의 등록

만든 인터셉터를 실행시키기 위해선 Config로 등록해야 한다. "WebMvcConfigurer" 가 제공하는 addInterceptors() 를 사용해서 인터셉터를 등록할 수 있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Interceptors(InterceptorRegistry registry) {
        registry.addInterceptor(new LogInterceptor())
                .order(1)
                .addPathPatterns("/**")
                .excludePathPatterns("/css/**", "/*.ico", "/error");
}
}

 

- order() : 인터셉터의 호출 순서를 지정한다. 낮을 수록 먼저 호출된다.
- addPathPatterns() : 인터셉터를 적용할 URL 패턴을 지정한다.

- excludePathPatterns() : 인터셉터에서 제외할 패턴을 지정한다.

 

 

[ArgumentResolver]

Filter와 Interceptor를 통해서도 인증을 체크할수 있지만 어노테이션을 활용하면 더욱 집약적으로 원하는 메소드에만 적용 할수 있다. 이때 ArgumentResolver를 활용한다.

인증된 유저만 접근할수 있는 컨트롤러를 예시로 들면 아래와 같다.

1) 사용 예시 : @Login

 @GetMapping("/")
 public String homeLoginV3ArgumentResolver(@Login Member loginMember, Model model) { //세션에 회원 데이터가 없으면 home
     if (loginMember == null) {
         return "home";
     }
     //세션이 유지되면 로그인으로 이동
     model.addAttribute("member", loginMember); return "loginHome";
}

 

위에 적용된 @Login 어노테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있도록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2) 어노테이션 구현

package hello.login.web.argumentresolver;
import java.lang.annotation.ElementType;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
import java.lang.annotation.RetentionPolicy;
import java.lang.annotation.Target;
@Target(ElementType.PARAMETER)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public @interface Login {}

- @Target(ElementType.PARAMETER) : 파라미터에만 사용
-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 리플렉션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런타임까지 애노테이션 정보가 남아있음

 

3) 어노테이션을 실행시킬 resolver 구현

이제 이것이 실행될 수 있도록 resolver를 구현한다

package hello.login.web.argumentresolver;

import hello.login.domain.member.Member;
import hello.login.web.SessionConst;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core.MethodParamet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support.WebDataBinderFac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web.context.request.NativeWeb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ethod.support.ModelAndViewContainer;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ssion;

@Slf4j
public class LoginMemberArgumentResolver implements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
    @Override
    public boolean supportsParameter(MethodParameter parameter) {
        log.info("supportsParameter 실행");
        boolean hasLoginAnnotation =
                parameter.hasParameterAnnotation(Login.class);
        boolean hasMemberType =
                Member.class.isAssignableFrom(parameter.getParameterType());
        return hasLoginAnnotation && hasMemberType;
    }

    @Override
    public Object resolveArgument(MethodParameter parameter,
                                  ModelAndViewContainer mavContainer, NativeWebRequest webRequest,
                                  WebDataBinderFactory binderFactory) throws Exception {
        log.info("resolveArgument 실행");
        HttpServletRequest request = (HttpServletRequest)
        webRequest.getNativeRequest();
        HttpSession session = request.getSession(false);
        if (session == null) {
            return null;
        }
        return session.getAttribute(SessionConst.LOGIN_MEMBER);
    }
}

- supportsParameter() : @Login  애노테이션이 있으면서 Member 타입이면 해당 ArgumentResolver 가 사용된다
- resolveArgument() : 컨트롤러 호출 직전에 호출 되어서 필요한 파라미터 정보를 생성해준다. 여기서는 세션 에 있는 로그인 회원 정보인 member 객체를 찾아서 반환해준다. 이후 스프링MVC는 컨트롤러의 메서드를 호출 하면서 여기에서 반환된 member 객체를 파라미터에 전달해준다.

4)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

마지막으로 생성한 LoginMemberArgumentResolver를 빈으로 등록한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WebConfig implements WebMvcConfigurer {
@Override
     public void addArgumentResolvers(List<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resolvers) {
         resolvers.add(new LoginMemberArgumentResolver());
     }
}

 

 

[Exception]

REST API를 활용할때 효율적으로 에러처리 하는 방법위주

예외가 발생해 서블릿을 넘어 WAS 까지 전달되면 http status code는 500으로 처리된다.

1) 스프링부트 기본 오류 처리

스프링 부트의 기본 설정은 오류 발생시 `/error`를 오류 페이지로 요청하고, `BasicErrorController`는 이 경로를 기본으로 받는다.

이 기본경로는 .applications 파일에서 `server.erorr.path` 로 변경 가능하다.

 

스프링 부트는 `BasicErrorController`가 제공하는 기본 정보들을 활용하여 오류 API를 생성해준다. 노출되는 오류 메세지는 조절 가능하다.

server.error.include-binding-errors=always

server.error.include-exception=true

server.error.include-message=always

server.error.include-stacktrace=always

 

보안상 가릴껀 가리도록 한다!

 

2) API 예외 처리 : HandlerExceptionResolver

스프링 MVC는 컨트롤러(핸들러) 밖으로 예외가 던져진 경우 예외를 해결하고, 동작을 새로 정의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컨트롤러 밖으로 던져진 예외를 해결하고, 동작 방식을 변경하고 싶으면 `HandlerExceptionResolver` 를 사용하면 된다. 줄여서 `ExceptionResolver` 라 한다.

 

이때 ExceptionResolver로 적절한 에러처리를 하였어도 Interceptor의 postHandle()은 호출되지 않는다.

> 사용자 정의 예외 추가하기

- 나만의 Exception 종류를 추가한다.

package hello.exception.exception;

public class UserException extends RuntimeException {
    public UserException() {
        super();
    }

    public UserException(String message) {
        super(message);
    }

    public UserException(String message, Throwable cause) {
        super(message, cause);
    }

    public UserException(Throwable cause) {
        super(cause);
    }

    protected UserException(String message, Throwable cause, boolean
            enableSuppression, boolean writableStackTrace) {
        super(message, cause, enableSuppression, writableStackTrace);
    }
}

 

> HandlerExceptionResolver 구현하기

- 나만의 Resolver 만들고 에러종류에 따라 status code 지정하기

package hello.exception.resolver;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HandlerException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java.io.IOException;
@Slf4j
public class MyHandlerExceptionResolver implements HandlerExceptionResolver {
@Override
public ModelAndView resolveExcep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Exception ex) {
    try {
        if (ex instanceof UserException) {
            log.info("UserException resolver to 400");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BAD_REQUEST);
            if ("application/json".equals(acceptHeader)) {
                 Map<String, Object> errorResult = new HashMap<>();
                 errorResult.put("ex", ex.getClass());
                 errorResult.put("message", ex.getMessage());
                 String result =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errorResult);
                 response.setContentType("application/json");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response.getWriter().write(result);
                 return new ModelAndView();
             } else {
                 //TEXT/HTML
                 return new ModelAndView("error/400");
             }
        }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resolver ex", e);
    }
    return null;
    }
}

발생한 에러 종류가 `IllegalArgumentException` 라면 status code 를 400으로 처리하게 한다.

 

- HandlerExceptionResolver의 return 값

해당 메소드에서 return 값의 종류에 따라 DispatcherServlet의 동작 방식이 달라진다.

- 빈 ModelAndView :`new ModelAndView()` 처럼 빈 `ModelAndView` 를 반환하면 뷰를 렌더링 하지 않고, 정상 흐름으로 서블릿이 리턴된다.

- ModelAndView 지정 : `ModelAndView` 에 `View` , `Model` 등의 정보를 지정해서 반환하면 뷰를 렌더링 한다.

- null : `null` 을 반환하면, 다음 `ExceptionResolver` 를 찾아서 실행한다. 만약 처리할 수 있는 `ExceptionResolver` 가 없으면 예외 처리가 안되고, 기존에 발생한 예외를 서블릿 밖으로 던진다.

 

- 구현한 Resolver 등록하기

WebMvcConfigurer를 통해 아래와 같이 등록한다.

/**
* 기본 설정을 유지하면서 추가 */
 @Override
 public void extendHandlerExceptionResolvers(List<HandlerExceptionResolver> resolvers) {
     resolvers.add(new MyHandlerExceptionResolver());
}

 

3) API 예외 처리 - @ExceptionHandler : 클래스 처리

위에서 언급한 HandlerExceptionResolver의 리턴값은 ModelAndView 인데 REST API 프로젝트에서는 해당 반환값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특정 컨트롤러에서만 발생하는 예외를 별도로 처리하기도 어려웠는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ExceptionHandler` 가 있다.

 

> 클래스 내에서 사용하는 @ExceptionHandler

 @Slf4j
 @RestController
 public class ApiExceptionV2Controller {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ExceptionHandler(IllegalArgumentException.class)
     public ErrorResult illegalExHandle(IllegalArgumentException e) {
         log.error("[exceptionHandle] ex", e);
         return new ErrorResult("BAD", e.getMessage());
     }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ult> userExHandle(UserException e) {
         log.error("[exceptionHandle] ex", e);
         ErrorResult errorResult = new ErrorResult("USER-EX", e.getMessage());
         return new ResponseEntity<>(errorResult, HttpStatus.BAD_REQUEST);
     }
     
    @GetMapping("/api2/members/{id}")
    public MemberDto getMember(@PathVariable("id") String id) {
        if (id.equals("user-ex")) {
            throw new UserException("사용자 오류");
        }
    }

 

- 에러 캐치

Get 메소드로 호출된 컨트롤러 안에서 UserException 발생 시  @ExceptionHandler에 의해 캐치되어 적절하게 에러처리가 이뤄진다. 해당 에러처리 Handle 에서 status code는 400 이 되고 ResponseEntity 로 return 되어 정상 리턴이 이뤄진다.

 

- 에러 처리 우선순위

@ExcpetionHandler 메소드를 여러개 생성할 수 있는데 캐치하는 에러의 상하관계에 따라 자식클래스가 우선순위를 가지며 에러처리가 이뤄진다. @ExcpeitonHandler의 매개변수로 해당 메서드를 통해 처리될 에러class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곳에 복수개의 등록이 가능하다.

 @ExceptionHandler({AException.class, BException.class})

만약 해당 부분을 생략 할 경우 메서드의 파라미터의 예외 종류가 지정되어 처리된다.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ult> userExHandle(UserException e) {

 

> @ExceptionHandler의 실행 흐름

- 컨트롤러를 호출한 결과 `IllegalArgumentException` 예외가 컨트롤러 밖으로 던져진다.

- 예외가 발생했으로 `ExceptionResolver` 가 작동한다.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 가 실행된다.

- `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 는 해당 컨트롤러에 `IllegalArgumentException` 을 처리 할 수 있는 `@ExceptionHandler` 가 있는지 확인한다.

- `illegalExHandle()` 를 실행한다. `@RestController` 이므로 `illegalExHandle()` 에도 `@ResponseBody` 가 적용된다. 따라서 HTTP 컨버터가 사용되고, 응답이 다음과 같은 JSON으로 반환된다.

-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를 지정했으므로 HTTP 상태 코드 400으로 응답한다.

 

 

4) API 예외 처리 - @ControllerAdvice : 모든 클래스

`@ExceptionHandler` 를 사용해서 예외를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지만, 정상 코드와 예외 처리 코드가 하나의
컨트롤러에 섞여 있다. `@ControllerAdvice` 또는 `@RestControllerAdvice` 를 사용하면 둘을 분리할 수 있다.

 

#1 컨트롤러에서 예외 처리 코드 삭제

package hello.exception.exhandler;

import hello.exception.exception.UserException;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Data;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

@Slf4j
@RestController
public class ApiExceptionV2Controller {
    @GetMapping("/api2/members/{id}")
    public MemberDto getMember(@PathVariable("id") String id) {
        if (id.equals("ex")) {
            throw new RuntimeException("잘못된 사용자");
        }
        if (id.equals("bad"))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잘못된 입력 값");
        }
        if (id.equals("user-ex")) {
            throw new UserException("사용자 오류");
        }
        return new MemberDto(id, "hello " + id);
    }

    @Data
    @AllArgsConstructor
    static class MemberDto {
        private String memberId;
        private String name;
    }
}

 

#2 ControllerAdvice 처리 코드 작성

@Slf4j
@RestControllerAdvice(basePackages = "hello.exception.api")
public class ExControllerAdvice {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ExceptionHandler(IllegalArgumentException.class)
    public ErrorResult illegalExHandler(IllegalArgumentException e) {
        log.error("[exceptionHandler] ex", e);
        return new ErrorResult("BAD", e.getMessage());
    }

    @ExceptionHandler
    public ResponseEntity<ErrorResult> userExHandler(UserException e) {
        log.error("[exceptionHandler] ex", e);
        ErrorResult errorResult = new ErrorResult("USER-EX", e.getMessage());
        return new ResponseEntity(errorResult, HttpStatus.BAD_REQUEST);
    }

    @ResponseStatus(HttpStatus.INTERNAL_SERVER_ERROR)
    @ExceptionHandler
    public ErrorResult exHandler(Exception e) {
        log.error("[exceptionHandler] ex", e);
        return new ErrorResult("EX", "내부 오류");
    }
}

RestControllerAdvice의 basePackage 파라미터를 통해 적용할 범위를 지정해 준다. 해당 범위 내에서 에러 발생시 위 파일내에서 처리 가능한 에러 종류라면 적절하게 처리되어진다.

> @ControllerAdvice

- `@ControllerAdvice` 는 대상으로 지정한 여러 컨트롤러에 `@ExceptionHandler` , `@InitBinder` 기능

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한다.
- `@ControllerAdvice` 에 대상을 지정하지 않으면 모든 컨트롤러에 적용된다. (글로벌 적용)

- `@RestControllerAdvice` `@ControllerAdvice` 와 같고, `@ResponseBody` 가 추가되어 있다. `@Controller` , `@RestController` 의 차이와 같다.

 

 

반응형
반응형

[0] 스프링

  •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
  • 자바 언어의 가장 큰 특징인 "객체 지향 언어"가 가진 강력한 특징을 살려내는 프레임워크
  • 스프링은 좋은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

스프링 활용 기술

핵심 기술: 스프링 DI 컨테이너, AOP, 이벤트, 기타
웹 기술: 스프링 MVC, 스프링 WebFlux
데이터 접근 기술: 트랜잭션, JDBC, ORM 지원, XML 지원
기술 통합: 캐시, 이메일, 원격접근, 스케줄링
테스트: 스프링 기반 테스트 지원
언어: 코틀린, 그루비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를 통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

 

[1] 스프링 부트

  •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최근에는 기본으로 사용
  •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생성
  • Tomcat 같은 웹 서버를 내장해서 별도의 웹 서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 손쉬운 빌드 구성을 위한 starter 종속성 제공
  • 스프링과 3rd party(외부) 라이브러리 자동 구성
  • 메트릭, 상태 확인, 외부 구성 같은 프로덕션 준비 기능 제공
  • 관례에 의한 간결한 설정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4가지 특징 : 추상화, 캡슐화, 상속, 다형성

 

[3] IoC, DI, 컨테이너

1] IoC (Inversion of Control) : 제어의 역전

Appconfig 등장 이후로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은 AppConfig가 담당하고 구현객체는 자신의 로직을 실행하는 역할만 담당한다.

ex) OrderServiceImp 은 필요한 인터페이스들을 호출하지만 어떤 구현 객체들이 실행되는지는 알 수 없다 (AppConfig에서 객체가 생성되고 할당된다)

즉, 프로그램에 대한 제어 흐름에 대한 모든 권한이 AppConfiga에게 있는것인데 이처럼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관리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 (IoC) 이라고 한다.

 

 

프레임워크 vs 라이브러리

- 프레임워크가 내가 작성한 코드를 제어하고, 대신 실행하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맞다.

ex) JUnit

- 반면 내가 작성한 코드가 직접 제어의 흐름을 담당한다면 그것은 프레임워크가 아니라 라이브러리이다.

ex) java 객체를 json이나 xml로 변환하려 할때 직접 호출하는 것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것이다.

 

2]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관계 주입

OrderServiceImpl은 DiscountPolicy 인터페이스에 "의존" 하지만 실제 어떤 구현 객체가 사용될지는 모른다.

의존관계는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관계" 를 분리하여 생각해야 한다.

- DI란?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점 (런타임)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되는 것을 DI (의존관계 주입) 이라고 한다.

 

  • 객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그 참조갓을 전달해서 연결된다.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호출하는 대상의 타입 인스턴스를 변경할 수 있다.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

class가 사용하는 import 코드만 보고 의존관계를 쉽게 판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아도 분석할 수 있다.

-> intelliJ 툴에서 볼수 있다 : Diargrams > show Diagram > show Dependency

 

BUT !! 이러한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로는 실제로 어떤 객체가 OrderServiceImpl에 주입 될지 알 수 없다.

 

- 동적인 객체(인스턴스) 의존관계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실제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의 참조가 연결된 의존관계이다.

 

3] IoC컨테이너 혹은 DI컨테이너

AppConfig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 으로 의존관계 주입에 초점을 맞춰 최근에는 주로 DI 컨테이너 라고 부른다. 다른 이름으로는 어셈블러, 오브젝트 팩토리 등 ...

 

[4] 싱글톤 패턴과 싱글톤 컨테이너

1] 싱글톤 패턴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딱 1개만 생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자인 패턴

구현 예

package hello.core.singleton;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1. static 영역에 객체를 딱 1개만 생성해둔다.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2. public으로 열어서 객체 인스턴스가 필요하면 이 static 메서드를 통해서만 조회하도록 허용한 다.
     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3. 생성자를 private으로 선언해서 외부에서 new 키워드를 사용한 객체 생성을 못하게 막는다. private SingletonService() {
}
public void logic() { System.out.println("싱글톤 객체 로직 호출");
} }

단점

  •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코드 자체가 많이 들어간다.
  • 의존관계상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에 의존한다. DIP를 위반한다.
  •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에 의존해서 OCP 원칙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다. 테스트하기 어렵다.
  • 내부 속성을 변경하거나 초기화 하기 어렵다.
  • private 생성자로 자식 클래스를 만들기 어렵다.
  • 결론적으로 유연성이 떨어진다.
  • 안티패턴으로 불리기도 한다.

 

=> 이러한 싱글톤 패턴의 단점을 보완하고, 객체를 단 한개만 생성하게 해주는 것이 스프링의 싱글톤 컨테이너 이다

 

2] 싱글톤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1개만 생성)으로 관리한다.

스프링 빈이 바로 싱글톤으로 관리되는 빈이다.

//Appconfig.java
@Configuration // 구성정보, 설정정보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
// 싱글톤으로 생성되는지 확인하기
	@Test
    @DisplayName("스프링 컨테이너와 싱글톤") void springContainer()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1. 조회: 호출할 때 마다 같은 객체를 반환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2. 조회: 호출할 때 마다 같은 객체를 반환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참조값이 같은 것을 확인
        System.out.println("memberService1 = " + memberService1); System.out.println("memberService2 = " + memberService2);
        //memberService1 == memberService2
        assertThat(memberService1).isSameAs(memberService2);
    }

 

스프링은 99%는 싱글톤 빈을 사용하지만 가끔 싱글톤을 사용하지 않고 요청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3] 싱글톤 사용방식의 주의점

- 무상태로 하기

  • 객체를 딱 하나 생성해서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상태를 유지하게 설계하면 안된다 즉, stateless (무상태) 해야 한다.
  •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으면 안된다!
  • 가급적 읽기만 가능해야 한다.

- No 필드 ->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하기

필드 대신에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4] @Configuration과 싱글톤

AppConfig에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사용함으로써 싱글톤으로 스프링 빈이 등록되도록 한다.

해당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AppConfig 에 CGLIB가 붙어 싱글톤으로 동작하게 해준다.

만약 해당 어노테이션을 제거하고 @Bean만 사용할 경우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빈이 등록되는데 중복된 객체가 생성되어 싱글톤으로 생성되지 않는다.

 

[5] 컴포넌트 스캔

AppConfig 파일로 Configuration과 Bean 어노테이션을 활용해 설정정보를 작성하고 의존관계를 명시하는 방법이 있지만, 등록해야 할 빈이 많게 되면 코드의 유지보수가 복잡해진다. 이럴때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컴포넌트 스캔이라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 의존관계도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 라는 기능도 제공한다.

 

1] @Component 와 @Autowired

@Component : 빈으로 등록할 객체에 대해 해당 어노테이션을 붙인다

@Autowired : 객체가 등록될때 필요한 의존관계를 자동으로 주입해 준다. 생성자에서 여러 의존관계도 한번에 주입받을 수 있다.

 

2] 컴포넌트 스캔 기본 대상

  • @Component : 컴포넌트 스캔에서 사용
  • @Controller : 스프링 MVC 컨트롤러에서 사용
  • @Service : 스프링 비즈니스 로직에서 사용. 사실 @Service 는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는다. 대신 개발자들이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여기에 있겠구나~ 라고 비즈니스 계층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된다.
  • @Repository : 스프링 데이터 접근 계층에서 사용하고, 데이터 계층의 예외를 스프링 예외로 변환해준다.
  • @Configuration : 스프링 설정 정보에서 사용 + 스프링 설정 정보로 인식하고, 스프링 빈이 싱글톤을 유지하도록 추가 처리
    를 한다.

 

[6] 의존관계 @Autowired

의존관계는 스프링 빈에 등록된 객체에만 주입할수 있다!! @Component로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는 뜻

1] 의존관계 주입 방법 4가지

- 생성자 주입

class 명과 동일한 생성자 메소드 작성하여 해당 메소드에 @Autowired 명시하기

생성자 호출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되며 "불변/필수" 의존관계에 사용된다.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 setter 주입 (수정자 주입)

setter라 불리는 필드의 값을 변경하는 수정자 메서드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

"선택 / 변경" 가능성이 있는 의존관계에 사용한다.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void set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 field 주입

코드가 간결해서 많은 개발자들을 유혹하지만 외부에서 변경이 불가능해서 테스트 하기 힘들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DI 프레임워크가 없으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

=> 사용을 지양한다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 일반 메소드 주입

한번에 여러 필드를 주입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void init(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7] 롬복 라이브러리

Getter, Setter, ToString, 생성자 주입 등 다양한 기능 지원

1] 생성자 주입 롬복 사용 :  @RequiredArgsConstructor

@RequiredArgsConstructor : final이 붙은 필드를 모아서 생성자를 자동으로 만들어준다.

사용 전

@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

사용 후

@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8] 빈 생명주기 콜백

객체의 생성과 초기화 단계적 예시

예시 클래스 생성

package hello.core.lifecycle;

public class NetworkClient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 + url);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세지");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 서비스 시작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
        System.out.println("connect : " + url);
    }

    public void call(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call : " + url + "message : " + message);
    }

    // 서비스 종료시 호출
    public void disconnect() {
        System.out.println("close : " + url);
    }
}

 

위 클래스 객체를 생성하고 초기화 하여 값 확인해보기

package hello.core.lifecycl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public class BeanLifeCycleTest {
    @Test
    public void lifeCycleTest() {
        Configurable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LifeCycleConfig.class);
        NetworkClient client = ac.getBean(NetworkClient.class);
        ac.close();
    }

    @Configuration
    static class LifeCycleConfig {

        @Bean
        public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w NetworkClient();
            networkClient.setUrl("http://hello-spring.dev");
            return networkClient;
        }
    }
}

 

위 테스트 코드 결과

/**
 * 생성자 호출 : null
 * connect : null
 * call : nullmessage : 초기화 연결 메세지
 * */

 

- 스프링 빈의 이벤트 라이프사이클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 스프링 빈 생성 -> 의존관계 주입 -> 초기화 콜백 -> 사용 -> 멸전 콜백

 

- 초기화 콜백 : 빈이 생성되고, 빈의 의존관계 주입이 완료된 후 호출

- 소멸전 콜백 : 빈이 소멸되기 직전에 호출

 

- 스프링의 빈 생명주기 콜백 방법 3가지

스프링은 크게 3가지 방법으로 빈 생명주기 콜백을 지원한다.

 

  • 인터페이스(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 설정 정보에 초기화 메서드, 종료 메서드 지정
  • @PostConstruct, @PreDestroy 애노테이션 지원

 

1) 인터페이스(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package hello.core.lifecycl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Disposable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InitializingBean;

public class NetworkClient implements InitializingBean, DisposableBean {

    private String url;

    public NetworkClient() {
        System.out.println("생성자 호출 : " + url);
    }


    public void setUrl(String url) {
        this.url = url;
    }

    // 서비스 시작시 호출
    public void connect() {
        System.out.println("connect : " + url);
    }

    public void call(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call : " + url + "message : " + message);
    }

    // 서비스 종료시 호출
    public void disconnect() {
        System.out.println("close : " + url);
    }

    @Override
    public void afterPropertiesSet() throws Exception {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세지");
    }

    @Override
    public void destroy() throws Exception {
        disconnect();
    }
}

 

위 상태로 코드 수정 뒤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다

생성자 호출 : null
connect : http://hello-spring.dev
call : http://hello-spring.devmessage : 초기화 연결 메세지
close : http://hello-spring.dev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하지만 스프링 전용 인터페이스에 의존적이고, 초기화와 소멸 메소드의 이름을 변경할수 없고, 외부 라이브러리에 적용이 안되어서 잘 사용하지 않는 방법이다.

 

2) 설정 정보에 초기화 메서드, 종료 메서드 지정

1번방법의 implements를 삭제하고 초기화와 소멸 메소드 명을 커스텀한다.

public void init() throws Exception {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세지");
}

public void close() throws Exception {
    disconnect();
}

 

그리고 나서 해당 클래스가 등록된 Bean의 설정에 초기화와 종료 메소드를 지정한다

@Configuration
static class LifeCycleConfig {

    @Bean(initMethod = "init", destroyMethod = "close")
    public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tworkClient networkClient = new NetworkClient();
        networkClient.setUrl("http://hello-spring.dev");
        return networkClient;
    }
}

 

이후 테스트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다.

생성자 호출 : null
connect : http://hello-spring.dev
call : http://hello-spring.devmessage : 초기화 연결 메세지
close : http://hello-spring.dev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

 

위 방법을 사용하면 외부라이브러리에도 사용 가능하다.

 

3) @PostConstruct, @PreDestroy 애노테이션 지원

생성자와 소멸자 메소드에 어노테이션을 추가한다. 2번에서 추가한 Bean 설정은 제거한다.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throws Exception {
    connect();
    call("초기화 연결 메세지");
}

@PreDestroy
public void close() throws Exception {
    disconnect();
}

 

하지만 이 방법은 외부 라이브러리에는 적용하지 못한다. 

3번 방법을 가장 지향하지만, 외부라이브러리에 적용이 필요하다면 2번 방법을 사용하자!

 

[9] 빈 스코프

1] 스프링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스코프

  • 싱글톤 :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 호출할때마다 동일한 스프링빈이 호출된다.
  • 프로토타입 : 스프링 컨테이너가 빈의 생성과 의존곤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 호출할때마다 새로운 빈이 호출된다. 빈이 요청되는 시점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하고 필요한 의존관계를 주입한다. @PreDestroy가 동작하지 않는다.
  • 웹 관련 스코프
    • request : 웹 요청 in out 때까지 유지
    • session : 웹 생선 생성~종료 까지 유지
    • application : 웹 서블릿 컨텍스와 같은 범위로 유지
반응형
반응형

[1] 빌드하고 실행하기

사전작업 : spring 프로젝트를 생성한 상태. IDEL 에서 run 하여 포트연결이 확인 된 상태

// gradlew 파일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
> ll
build.gradle
gradle
gradlew
gradlew.bat
settings.gradle
src
// 아래 명령어 입력
> ./gradlew build
BUILD SUCCESSFUL in 4s
// 그러면 해당 경로에 build 폴더가 생성된다. build 파일 하위의 libs 폴더로 이동한다
> cd build/libs
> ll
staff   2.7K  4 21 22:42 hello-spring-0.0.1-SNAPSHOT-plain.jar
staff    20M  4 21 22:42 hello-spring-0.0.1-SNAPSHOT.jar
// 왜 -plain 이라는 jar 파일이 있는지는 모르겠음.... 일단 생성된 jar 파일을 실행시킨다
>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   ____          _            __ _ _
 /\\ / ___'_ __ _ _(_)_ __  __ _ \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3.2.4)
INFO 2389 --- [hello-spring] [           main] j.hellospring.HelloSpringApplication     : Started HelloSpringApplication in 1.823 seconds (process running for 2.374)

서버에서 프로젝트를 실행하려고 하면 jar 파일을 생성하여 서버에 올리고, 서버에서 jar 파일을 실행하도록 하면 된다.

만약 빌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우 build 폴더를 삭제하고 다시 빌드해본다.

// 기존에 생성된 build 폴더를 삭제한다.
$ ./gradlew clean

// 이후 재 빌드한다.
$ ./gradlew build

// clean 과 빌드를 동시에 한다 (clean 후 빌드)
$ ./gradlew clean build

[2] DI 와 스프링 빈 등록하기

- DI (Dependency Injection , 의존성 주입)

DI를 사용하면 기존 코드를 전혀 손대지 않고, 설정만으로 구현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다.

예) Repository Interface를 Service에서 사용하고 해당 인터페이스를 implement한 구현체를 A 에서 B로 바꾸면 DB설계가 변경되었는 상황에서 오직 Repository 만 새로 작성하고 다른 기존 코드는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

>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 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AContoller{
    private final AService aService;

    @Autowired // Autowired 해놓으면 컴파일 될때 해당 객체를 가져온다
    public AController(AService aService) {
        this.aService = aService;
    }   
}

// service
@Service
public class AService {
    private final ARepository aRepository;

    @Autowired
    public AService(ARepository aRepository) {
        this.aRepository = aRepository;
    }

// repository
@Repository
public class ARepository {
}

? 만약 @Service annotation이 붙어있지 않다면

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spring.controller.AController required a bean of type 'hellospring.service.AService' that could not be found.

해당 에러가 발생한다. AService 라는 bean이 필요한데 찾을수 없다는 뜻. 따라서 annotation을 붙여주어 service 를 지정해준다.

> DI의 3가지 방법 : 필드 주입,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

1] 필드 주입

임의 조작이 불가능 하여 intelliJ에서는 변경을 권고한다. (노란줄 표시)

@Controller
public class AContoller{
    @Autowired private final AService aService;
}

2] setter 주입

command + N 으로 setter 생성

단점 : 누군가가 AController를 호출할때 serAService가 public 으로 호출되어 보안상 권고되지 않는다. (변경할수있게 되는 상태)

@Controller
public class AController {
    private AService aService;

    @Autowired
    public void setAService(AService aService) {
        this.aService = aService;
    }
}

3] 생성자 주입

- 위 예제에서 주입한 방법

- 가장 권장되는 방식

@Controller
public class AContoller{
    private final AService aService;

    @Autowired
    public AController(AService aService) {
        this.aService = aService;
    }   
}

- Spring bean을 등록하는 2가지 방법

1]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 @Componen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package 이거나, 하위 package에 등록된 component만 spring bean으로 등록한다.

2] java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하기

실행 어플리케이션과 동일한 package 경로에 config 파일을 생성해 준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Bean
    public AService aService() {
        return new AService(aRepository());
    }

    @Bean
    public ARepository aRepository() {
        return new aRepository();
    }
}

위 코드를 작성하면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때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에 따라 @Bean으로 지정된 것들을 생성한다.

이전에 작성한 @Service와 @Repository 를 해제하고, @Service에서 @Autowired한것도 지웠을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 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AContoller{
    private final AService aService;

    @Autowired // Autowired 해놓으면 컴파일 될때 해당 객체를 가져온다
    public AController(AService aService) {
        this.aService = aService;
    }   
}

// service
public class AService {
    private final ARepository aRepository;

    public AService(ARepository aRepository) {
        this.aRepository = aRepository;
    }

// repository
public class ARepository {
}

만약 위 config를 설정하지 않고 어노테이션만 지운 뒤 실행하면 필요한 bean을 찾지 못한다는 에러가 발생한다.

위 방법을 사용하면 repository 가 변경되었을때 (연결 DB 종류가 바뀐다던가..), config 파일에서 등록될 bean 부분만 코드를 수정해 주면 된다.

 

[3] 스프링 과 DB

1] h2

> homebrew 로 설치하기

참고로.. intel 맥북에어 메모리 8gb 스펙에서 brew 로 h2 다운로드 받으면 1시간걸린다...

brew install h2

 

> h2 실행하기

h2가 설치된 경로에 들어가서 h2 파일이 있는곳에서 접근권한을 부여해 주어야 한다.

// h2 > h2 > bin
chmod 755 h2.sh

이후 build.gradle 파일에 jdbc, h2 데이터베이스 관련 라이브러리 추가

- 단위테스트와 통합테스트

- 순수 java 코드로만 테스트 작성 : 단위 테스트

- Spring application 이 실행되는 테스트 : 통합테스트

 

단위테스트를 우선적으로 작성할 줄 알면 좋다~!

 

- JPA

스프링 데이터 JPA 를 활용해 기본제공 쿼리 사용하여 코드를 간단하게 구현할수 있다.

 

[4] AOP

AOP가 필요한 때 예시

- 모든 메소드의 호출 시간을 측정하고 싶다면?
- 공통 관심 사항(cross-cutting concern) vs 핵심 관심 사항(core concern)

- 회원 가입 시간, 회원 조회 시간을 측정하고 싶다면?

 

 

-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공통 관심 사항(cross-cutting concern) vs 핵심 관심 사항(core concern) 분리

@Aspect 를 활용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